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인터넷을 사용해서 공유자원(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인터넷을 사용해서 개인 혹은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2019년기준) Amazon AWS : 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34.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기업들도 AWS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Microsoft Azure : 세계 18.1%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점유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 Google Cloud Platform : 구글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SAP, VMWare, Windows, Oracle, 데이터센터마이그레이션 등을 제공한다. 국내에서 인터넷 홈쇼핑 업체들은 일부 혹은 전부 클..
로컬 테스트: 프로비저닝 코드를 로컬 환경에서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AWS CLI 또는 AWS SDK를 사용하여 프로비저닝 코드를 검증할 수 있다. AWS 리전 테스트: 프로비저닝 코드를 AWS 리전에서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AWS CloudFormation, AWS CDK 또는 AWS CLI를 사용하여 테스트 환경을 만들고 프로비저닝 코드를 검증할 수 있다. 자동화 테스트: 프로비저닝 코드에 대한 자동화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이는 AWS CodeBuild, AWS CodePipeline, AWS CodeDeploy 등을 사용하여 테스트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스트를 진행하여 프로비저닝 코드의 안정성, 정확성,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아키텍처 설계: AWS 서비스와 인프라 자원을 어떻게 구성할지 정의한다. 프레임워크 선택: AWS CloudFormation, Terraform 등 프레임워크를 선택하여 프로비저닝 코드를 구성한다. 프로비저닝 코드 개발: 선택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AWS 서비스와 인프라 자원을 구성하는 코드를 개발한다. 프로비저닝 코드 테스트: 개발한 코드를 테스트하여 원하는 동작을 하는지 확인한다. 배포: 테스트가 완료되면 코드를 실제 AWS 환경에 배포한다.
AWS 프로비저닝 개발에서 아키텍처 설계 단계는 매우 중요하다. 이 단계에서는 각 AWS 서비스가 어떻게 구성되고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구성할지 결정해야한다. 이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 구성, 각 서비스 간의 의존성, 배치 및 스케일링 전략 등을 고려해야 한다. AWS 서비스 선정: 개발하려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AWS 서비스를 선정한다. 요구 사항 분석: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AWS 서비스를 어떻게 구성할지 결정한다. 아키텍처 구성: AWS 서비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Amazon RDS에서 관리하고, 웹 애플리케이션을 Amazon..
AWS 계정 생성: AWS 계정을 생성하고, IAM 사용자 계정과 역할을 생성하여 권한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개발 툴 설정: AWS Management Console, AWS CLI, AWS SDK 등 AWS 개발 환경에 필요한 툴을 설정한다. 개발 환경 구성: AWS 서비스,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등 필요한 AWS 자원을 생성하고 구성한다. 권한 설정: IAM 역할을 생성하고, 액세스 권한을 제어할 수 있는 정책을 적용한다. 빌드 및 배포 환경 구성: AWS CodeBuild, AWS CodeDeploy 등을 사용하여 개발 코드를 빌드하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AWS 프로비저닝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AWS 계정 생성: AWS 계정이 없을 경우, AWS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AWS 계정은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생성할 수 있다. IAM 사용자 생성: AWS 계정에서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사용자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AWS Management Console 또는 AWS CLI, AWS SDK를 사용하여 AWS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갖는다. IAM 역할 생성: 프로비저닝 개발을 위해 필요한 AWS 서비스에 대한 권한을 갖는 IAM 역할을 생성한다. IAM 역할에는 특정 AWS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지정되며, 사용자가 IAM 역할을 연결하여 이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 IAM 역할 연결: 생성한 IAM 역할을 사용자에게..
1. AWS 계정 및 서비스 권한 설정: AWS 계정을 생성하고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권한 설정 2. 개발 환경 설정: AWS 개발 환경(예: AWS Cloud9)을 설정하고 필요한 도구와 언어 설치 3. 아키텍처 설계: AWS 서비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아키텍처 설계 이 단계에서는 구성 요소, 네트워크 구조,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보안, 배포 및 관리 등 고려 4. 프로비저닝 코드 개발: AWS CloudFormation, AWS CDK 또는 AWS CLI를 사용하여 프로비저닝 코드 개발 이 코드는 AWS 서비스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설정, 배포 및 관리 5. 테스트: 프로비저닝 코드 테스트
범용 인스턴스는 컴퓨팅, 메모리, 네트워킹 리소스를 균형 있게 제공한다.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워크로드에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게임 서버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용 백엔드 서버 중소 규모 데이터베이스 컴퓨팅, 메모리, 네트워킹에 필요한 리소스가 거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애플리케이션에 어느 한 리소스 영역에 대한 최적화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범용 인스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좋다. 컴퓨팅 최적화 인스턴스는 고성능 프로세서를 활용하는 컴퓨팅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범용 인스턴스와 마찬가지로 컴퓨팅 최적화 인스턴스는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게임 서버와 같은 워크로드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컴퓨팅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은 고성능 웹 서버, 컴퓨팅 ..
- Total
- Today
- Yesterday
- AWS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cloud computing
- 클라우드 컴퓨팅과 아마존 웹 서비스
- aws개발공부
- 아마존 웹 서비스
- amazon web services
- 클라우드 컴퓨팅
- aws공부순서
- aws시작
- aws기초
- aws공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