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설정과 프로젝트 QA 테스트를 마무리하였다. 작업 중에 nginx에 gzip.conf 파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주석처리를 했다고 생각하였지만 사용하지 않아도 그냥 넣어놔도 되지만 gzip 같은 경우엔 우리는 Vary 헤더를 사용하지 않지만, 캐시한 응답이 적절한 Accept-Encoding 요청 헤더를 보낸 클라이언트에게만 보내지도록 Vary: Accept-Encoding가 설정된다. Vary: Accept-Encoding 헤더를 사용하면 실제로 gzip 압축을 사용할 수 있어서 Accept Encoding에 giz, deflate를 주어 모든 요청을 gzip, deflate에 대한 요청으로 redirect 한다. 그래서 Vary header가 설정되지 않도록 gzip을 주석처리 한 것이다..
vi 편집기로 전체 삭제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전체 삭제 전체 삭제 방법 1 gg// 첫번째 줄로 이동 dG// 현재 위치 이하 모두 삭제 (d + Shift g) 전체 삭제 방법 2 (비주얼 라인 모드) gg// 첫번째 줄로 이동 VG// shift v(비주얼 라인 모드), shift g(현재 위치 이하 모두 선택) (shift v + shift g) d// 삭제 전체 복사 전체 복사 방법 1 gg// 첫번째 줄로 이동 yG// 현재 위치 이하 모두 복사 (y + Shift g) 전체 복사 방법 2 (비주얼 라인 모드) gg// 첫번째 줄로 이동 VG// shift v(비주얼 라인 모드), shift g(현재 위치 이하 모두 선택) (shift v + shift g) y// 복사 선택 삭제 선택..
nginx.conf 환경설정 파일을 변경하고 재기동 할때 두가지 방법이 있다. service nginx restart service nginx reload restart 서버를 shutdown 후 재기동, 서비스가 종료되는 시간이 존재 설정 파일에 문법적 에러가 존재할 경우, 서버는 죽게 된다. reload 새로운 설정 파일을 반영할 때 서버는 살아서 동작. 설정 파일에 문법적 에러가 존재할 경우, reload는 실패하지만 서버는 기존 설정을 기반으로 정상 동작. 운영중인 서비스를 재기동하는 방법으론 reload 사용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설정파일을 변경하지 않고 프로젝트 기반되는 프론트엔드 내용을 변경할 경우엔 별다른 재기동 없이 적용되기 때문에 설정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해당된다.
엔진엑스(Nginx)는 Apache보다 동작이 단순하며, 전달자 역할만 하기에동시접속 처리에 특화된 웹 서버 프로그램이다. 서버 모니터링 관련 프로젝트를 위해 linux 서버에 nginx 환경설정 세팅을 해야한다. 기본 설정 nginx.conf :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환경 설정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 환경 파일을 찾을 수 있다. find / -name nginx.conf 보통 /etc/nginx/* 아래에 설정파일이 위치해있고, 로그파일은 /var/log/nginx/* 에 위치해있다. user nginx; # 프로세스의 실행되는 권한. 보안상 root를 사용하지 않는다. worker_processes 1; # 프로세스를 생성할 것인지를 지정. 1이면 모든 요청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실행, CPU 멀티코어 시..
- Total
- Today
- Yesterday
- aws기초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cloud computing
- aws시작
- AWS
- amazon web services
- aws공부순서
- 클라우드 컴퓨팅
- 아마존 웹 서비스
- aws개발공부
- 클라우드 컴퓨팅과 아마존 웹 서비스
- aws공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