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ginx.conf 환경설정 파일을 변경하고 재기동 할때 두가지 방법이 있다.
service nginx restart
service nginx reload
restart
- 서버를 shutdown 후 재기동, 서비스가 종료되는 시간이 존재
- 설정 파일에 문법적 에러가 존재할 경우, 서버는 죽게 된다.
reload
- 새로운 설정 파일을 반영할 때 서버는 살아서 동작.
- 설정 파일에 문법적 에러가 존재할 경우, reload는 실패하지만 서버는 기존 설정을 기반으로 정상 동작.
운영중인 서비스를 재기동하는 방법으론 reload 사용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설정파일을 변경하지 않고 프로젝트 기반되는 프론트엔드 내용을 변경할 경우엔 별다른 재기동 없이 적용되기 때문에 설정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해당된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ponse header의 Vary Header (0) | 2022.11.09 |
---|---|
Linux vi 편집기 (삭제/복사/붙여넣기/되돌리기) (0) | 2022.11.09 |
Nginx 기본설정 (0) | 2022.11.0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mazon web services
- 아마존 웹 서비스
- AWS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aws공부
- cloud computing
- 클라우드 컴퓨팅과 아마존 웹 서비스
- aws시작
- 클라우드 컴퓨팅
- aws공부순서
- aws개발공부
- aws기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